심리학 소식

HOME > 센터소식 > 심리학 소식

의부증/의처증 증상과 원인, 치료방법

강용
2021-12-17
조회수 5893

[부부상당/의부증/의처증]의부증, 의처증 증상과 원인, 치료방법


한국심리상담센터 부설) 고정희 부부 클리닉


1. 의부증,의처증의 증상은 어떠한가?

흔히 배우자에 대해서 의처증이나 의부증 증세를 보이는 경우를 일반인들은 사랑이 지나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것은 확실히 병이다. 정상적인 사람들은 대부분 배우자가 의심스럽다가도 아니라는 증거가 확실하면 믿는다. 그러나 의처증, 의부증 환자들은 반대로 아니라는 증거를 들이대도 믿지 않고 오히려 배우자 가 바람을 피웠다는 증거를 찾고 싶어한다. 이들은 배우자가 불륜을 저질렀다는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그 믿음은 객관 적인 사 실에 근거하는 것이 아닌 망상의 수준이다. 그런 망상을 '부정망상'이라 한다.

세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의 하나인 '오델로'라는 작품이 이것을 잘 표현하고 있다고 해서 '오델로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배우자가 불륜을 저질렀다는 질투망상과 그 망상 때문에 행동이상이 동반될 때는 의처증이 나 의부증이라는 진단을 내린다.

유병률은 1-4%이며 대개 35-55세 사이에 발병한다. 최근 사회적인 요인이나 메스컴, 성윤리 의식의 변화, 피임방법의 개발 등으로 의처증이나 의부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환자들은 자기 망상을 뒷 받침 할 수 있는 증거를 찾기 위해 도청이나 미행, 자백 요를 위 한 폭력, 협박, 녹음기 및 비디오 촬영, 몸검사 등도 서슴지 않는다. 이런 환자들은 다른 면에서는 정상적인 행동 양상을 보이므로 고통을 당하는 배우 자 외에 는 그 문제를 알 수가 없다. 그러므로 상담은 많으나 실제 치료로 연결되기 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예후는 좋지 않다.

주위 사람들에게 상담을 해도 '뭔가 의심받을 짓을 한 것이 아니냐'는 눈총만 받을 뿐이므로 배우자들은 그 고통을 참느라 화병에 걸리기 쉽다. 의사 측에서도 반드시 의처증이나 의부증 환자의 직계가족들과 상의한 다음 그들의 동의를 얻고 나서 치료를 시작해야지 자칫하면 의사도 환자의 망상 속의 한 인물이 될 수 있다. 문제는 환자들이 자기가 배우자를 너무도 사랑한다고 생각하고 자기의 질투를 사랑으로 합리화한다는 것이다.  


2. 의부증,의처증의 원인은 무엇인가?

-성격적 원인

편집증적 성격의 소유자가 많다. 어렸을 적부터 까다롭고 무슨 일이든지 그냥 넘기지 못하고 곰곰이 생각하고 지나칠 정도로 기억력이 좋은 사람들, 다른 사람의 태도나 행동에 대해 예민하고 과장해서 생각하는 사람들, 이기적이고 쉽게 앙심을 품고 불평이 많은 사람들에게서 자주 나타난다. 이들은대개 융통성이 없고 남을 잘 믿지 못하고 참을성이 없다. 논쟁적이고 타협을 모르며 작은 실수나 남이 한 행동에 대해 절대 잊지 못하는 사람들이다.

여자의 경우는 의존적이고 미숙해서 배우자가 옆에 있어야지만 안심하는 경우나 샘이 많고 독점력이 많은 경우 의부증이 될 확률이 높다. 이런 사람들은 비밀을 털어놓고 지내거나 의견을 교환할 친구도 없는 경우가 많다. 성취에 대한 욕망이 강하고 능력 이상의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하므로 사회생활에서는 어느 정도 성공한다. 그러나 소심하고 비평을 견디지 못하며 유머 감각도 없고 고집 세고 완고한 편이다.

- 심리적 원인

배우자에 대한 열등감이 있을 때, 예를 들어지기 싫어하고 샘 많은 성격에 열등감까지 겹쳐 자존심의 손상이 깊을 때 투사기제로 배우자를 의심하게 된다. 자신이 바람피우고 싶거나 동성애적 경향이 있을 때나 배우자가 마음에 안들 때 도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밖에 실제로 부부생활에 문제가 있을 때, 특히 여성의 경우 갑자기 성생활의 회수가 줄었거나 문제가 있을 때 일시적으로 의부증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성장과정에서 부모가 적대적이고 지배적이어서 아이에게 두려움이나 불안을 느끼게 하거나 부모가 알코올중독이나 편집증이 있는 경우, 구박을 많이 받고 자란 경우도 심리적 원인으로 작용한다.


3. 의부증,의처증의 치료 및 예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약물치료

망상증의 일종이므로 항정신성 약물치료를 요한다. 이런 망상장애 환자들은 약물 사용에 대하여 의심이 많고 피해 적으로 받아들이기 쉽다. 그러므로 환자의 관계형성과 더불어 약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정신치료

기본적으로 사람에 대한 불신과 열등감이 많으므로 비판하거나 설득하려 해서도 안되고 비위를 맞추려고 해서도 안 된다. 한결같이 단호한 태도로 '나는 당신이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는 이해하지만 그렇게 생각하지는 않는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있고 왜 자신이 그런 망상을 갖게 되었는지 통찰해주고 분석해주는 치료가 필요하다.

- 가족치료와 부부치료

어떤 경우보다 가족치료, 특히 부부치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부부치료에 들어가기 까지에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만큼 불신으로 꽉 차 있으므로 실제로 정신과에서는 가장 치료가 힘든 병으로 분류되고 있다. 






0 0